
안녕하세요.
다과랜드입니다.
이번 글에서는 경제의 기초, 경제의 정의에 대해서 다뤄보겠습니다.

경제를 뜻하는 단어인 'economy'는 그리스어 가정이라는 뜻의 단어 'oikos'와 관리라는 뜻의 'nomos'로 부터 유래하였습니다.
한 가정에서도 뭘 저녁으로 먹을지, 누가 청소를 할지 등 많은 결정을 내려야합니다.
하지만 가정에서는 가족 구성원의 능력과 노력이 한정되어있습니다.
이처럼 한정된 자원을 식구들에게 나눠주어야 하지요.

사회도 마찬가지로 누구는 식당을 하고, 누구는 옷을 만드는 등 다양한 일을 합니다.
이 뒤에는 생산된 재화와 서비스를 나누어야 하지요.
이처럼 사회가 가지고 있는 자원은 관리가 필요합니다.
경제란 재화(goods)와 서비스(service)를 생산하고 유통하고 소비하는 모든 활동을 뜻합니다.
경제에는 한가지 본질적인 문제가 존재합니다.
바로 자원배분의 문제입니다.
| 자원배분의 문제: 누가, 무엇을, 어떻게, 누구를 위하여 생산할 것인가? Who, What, How, For whom? 생각해보기 - 시장경제가 어떻게 수많은 사람들의 행동을 조절할까요? |
시장경제가 자원배분의 문제를 어떻게 해결하는지는 경제학의 큰 관심사입니다.
왜 이러한 경제 문제가 발생할까요?
바로 "희소성(Scarcity)"때문에 발생합니다.
자원이 매우 풍부하면 배분의 문제가 발생할 이유도 없습니다.
사람의 욕망은 무한하나, 이를 만족시키기 위한 자원은 한정되어있습니다.
따라서, 자원을 잘 관리하는 것이 중요합니다.


즉, 경제학은 한 사회가 희소한 자원을 어떻게 관리하는지를 연구하는 학문입니다.
경제학은 개인의 선택 혹은 의사결정과 그 조정에 관한 학문이며, (합리적 선택이론)
경제학은 시장경제의 자원배분을 연구하는 학문이며, (자원배분이론)
경제학은 의도된 행동의 의도되지 않은 결과를 연구하는 학문입니다.
경제의 주체에는 가계(household), 기업(firm), 정부(government)이 있습니다.
각 경제 주체는 의사결정을 내리고, 이로써 경제 문제가 해결됩니다.
각 주체별의 자세한 설명은 다른 글에서 다루도록 하겠습니다.
'정보의 샘 - 사람살이 > 인문사회' 카테고리의 다른 글
| [경제학] 수요와 공급 이론 - 그래프와 함수, 수요공급 이동, 시장균형 (0) | 2021.10.06 |
|---|---|
| [경제학] 수요공급이론 - 완전경쟁시장, 불완전경쟁, 독점, 과점, 독점적 경쟁 (0) | 2021.10.05 |
| [경제학] 경제 모형 - 경제순환모형, 생산가능곡선 (0) | 2021.10.04 |
| [경제학] 경제학의 10대 기본원리 (1) | 2021.09.14 |